/ - 1749 post
- logginging.blog.me 2020.02.04
- 1월 3주차(200113~200119) 2020.01.20
- 심혁주, '소리와 그 소리에 관한 기이한 이야기' 2020.01.16
- 이찬혁, '물만난 물고기' 2020.01.16
- 1월 2주차(200106~200112) 2020.01.12
- 1월 1주차(191230~200105) 2020.01.05
- 앤드루 포터,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 2019.12.30
- 12월 4주차(191223~191229) 2019.12.30
- 12월 3주차(191216~191222) 2019.12.24
- 12월 2주차(191209~191215) 2019.12.15
- 하니니, '4일만에 사직서' 2019.12.12
- 12월 1주차(191202~191208) 2019.12.08
- '2019 제10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2019.12.05
- 11월 5주차(191125~191201) 2019.12.01
- 11월 4주차(191118~191124) 2019.11.24
심혁주, '소리와 그 소리에 관한 기이한 이야기' @ 20190523
티베트 학자가 들려주는 티베트 이야기.
1부와 2부로 나뉘어져 있는데, 1부에서는 작가가 직접 보고 느끼면서 체험한 티베트에 관한 이야기가 나오고,
2부에서는 그러한 티베트를 배경으로한 작가의 상상력이 가미된 소설이 나온다.
1부는 상당히 흥미롭게 읽었는데, 2부는 중간에 보다가 재미없어서 반납했다.
이찬혁, '물만난 물고기'' @ 202001
악동뮤지션 이찬혁의 첫 소설.
19년에 발매된 「항해」 앨범의 모티브라고 한다.
실제로 수록곡 제목들이 부제로 나오고, 해당 곡들을 들으면서 읽었더니 더 재밌다.
글을 상당히 잘 쓴다는 느낌. 상상력 뿐 아니라 표현력이 좋은 것 같다.
앤드루 포터,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 @ 20191227
짧은 글들이 모아져 있는 산문집만 즐겨보던 내게 직장동료가 추천해준 단편 소설.
장편보다 단편이 더 쓰기 어렵고, 그 여운이 더 오래 가는 것 같다.
어떻게 채우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비우느냐.
그 공백이 주는 채움이 있다.
'2019 제10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 20191205
박상영, '우럭 한 점 우주의 맛' / ★★
김희선, '공의 기원' / ★★
백수린, '시간의 궤적' / ★★★
이주란, '넌 쉽게 말했지만' / ★★☆
정영수, '우리들' / ★★★☆
김봉곤, '데이 포 나이트' / ★☆
이미상, '하긴'/ ★☆